코딩/파이썬과 라즈베리파이 (46) 썸네일형 리스트형 [Raspberry Pi] 라즈베리 파이와 함께 하는 파이썬 코딩 004. 기본 데이터 타입 list 리스트라 부르는 list 타입을 사용하면 여러 데이터를 하나로 묶을 수 있다. 리스트 타입은 대괄호를 이용해 선언하며, 각 요소는 ','로 구분한다. 리스트 각 요소의 값은 대괄호 안 인덱스(index)를 통해 접근하면 된다. (인덱스는 '0' 값부터 시작) 리스트의 맨 마지막 요소를 기준으로 '-1' 인덱스부터 역으로도 요소의 접근이 가능하다. (number[8]과 number[-2]느 값은 요소를 가리킨다.) 리스트는 ':'를 사용해 슬라이싱, 즉 리스트 내 지정한 범위의 리스트 만을 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반환된 리스트는 새로운 리스트이다. 리스트 타입의 변수에 사용 가능한 메서드(의미적으로 함수)는 다양하나 몇 가지 메서드이 사용 예는 아래와 같다. append remove extend [Raspberry Pi] 라즈베리 파이와 함께 하는 파이썬 코딩 003. 기본 데이터 타입 1 파이썬에서 지원되는 주요한 기본 (= 내장 : built-in, = 표준 : standard) 데이터 타입은 아래와 같다. 참/거짓 (bool) : True, False 정수 (int) : 예. -1, - , 1, 소수 (float) : 예. 3.14 문자열 (str) : 예. "Hello World" 위 코드를 보면 변수 v1 ~ v4에 bool 형, int 형, float 형, str 형 값을 각각 대입, 출력하였다. type 함수는 입력받은 대상(객체 = object)의 타입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Raspberry Pi] 라즈베리 파이와 함께 하는 파이썬 코딩 002. Hello World 문자 출력 및 변수 선언 코딩, 즉 프로그래밍에 대한 원론적 정의는 광범위하고 난해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코딩이란, 선택한 환경(예. 라즈베리 파이 OS와 파이썬 언어)에서 어떤 입력(input)을 받아 정해진 기준에 따라 처리(process)하고 원하는 결과가 출력되는 코드(프로그램)를 개발하는 과정이라 정의해 본다. 코딩을 윈한 첫번째는, 코딩의 목적이 무엇인지 정의/이해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코딩의 목적에 맞는 환경을 정의/이해하는 것이고 세번째는, 물론 자알 코딩하는 것이라 하겠다. 위 세번째, 코딩을 잘 하기 위한 기본은 역시 파이썬 코드를 어떻게 작성하면 되는지 그 방법(= 문법)과 이미 만들어져 공개되어 있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파이썬 모듈 = 라이브러리)를 숙지하는 것이다. 당연한 건 데 서론이.. [Raspberry Pi] 라즈베리 파이와 함께 하는 파이썬 코딩 001. 파이썬 코딩 환경 Thonny 본 글 및 이후 "라즈베리 파이와 함께 하는 파이썬 코딩 기초" 시리즈는 Raspberry Pi Beginners Guide 4 Edition을 참조한다. 라즈베리 파이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파이썬 개발 환경(IDE라고 불리는)으로 Thonny 프로그램이 있다. * IDE =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Thonny 프로그램은 라즈베리 파이 홈 -> Programming에서 실행하면 된다. 만약 Thonny Python IDE가 보이지 않으면 추가로 설치하거나, 라즈베리 파이 OS를 Full 버전으로 설치한다. 처음 Thonny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simple" 보기 모드로 열린다. 원하는 코드를 작성, 저장한 후 "Run" 이이콘으로 코드를 실행하면 하단 Sh.. [Raspberry Pi] 라즈베리 파이 3 모델 B+ vs. 4 모델 B 라즈베리 파이 3 모델 B+와 4 모델 B의 주요 하드웨어 사양을 비교해 본다. Broadcom BCM2711, Quad core Cortex-A72 (ARM v8) 64-bit SoC @ 1.5GHz 2GB, 4GB or 8GB LPDDR4-3200 SDRAM (depending on model) 2.4 GHz and 5.0 GHz IEEE 802.11ac wireless, Bluetooth 5.0, BLE 2 USB 3.0 ports; 2 USB 2.0 ports. 2 × micro-HDMI ports (up to 4kp60 supported) Micro-SD card slot for loading operating system and data storage 5V DC via USB-C connect.. [Raspberry Pi 3 B+] GPIO 핀 기본/초기 상태 확인 LED를 GPIO 2번 핀에 (GPIO 해더에선 3번 핀) 연결하니, 아무 코딩도 하지 않았는데 라즈베리 파이가 부팅되면서 자동으로 LED가 ON 되어 초기 GPIO 핀 상태가 궁금해졌다. 각 GPIO 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으로 터미널 창에서 gpio readall 명령어를 실행한다. 아래 그림에서, BCM은 라즈베리 파이의 GPIO 번호를 의미 wPi는 Wiring Pi 라이브러리 기준 핀 번호를 의미 Mode는 해당 핀이 임의 신호에 대하여 입력(IN) 모드인지 아니면 출력(OUT) 모드인지를 의미 V는 해당 핀의 상태가 논리적으로 1인지 아니면 0인지를 의미 Physical은 라즈베리 파이의 GPIO 해더의 핀 번호를 의미 2021.04.25 - [학습노트/Raspberry Pi] .. [Raspberry Pi 3 B+] 라즈베리 파이 홈페이지의 Documentation 번역서 예전에 라즈베리 파이에 대하여 이것 저것 검색해 보다가 위키독스(VikiDocs) 사이트에서 "라즈베리 파이 문서"라는 온라인 책을 본적이 있다. wikidocs.net/book/483 그 당시엔 설명되는 정보가 너무 많아 이러한 것들을 모두 알아야 한다는 말인가란 의구심과 함께 잊고 지냈는데, 이제야 서두의 글 의도가 무엇이었는지 이해가 됐다.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재단과 커뮤니티의 참여자가 함께 작성한 라즈베리 파이의 공식 문서를 개인적으로 번연한 것이다." 아~ 해당 글이 라즈베리 파이 홈페이지의 "Raspberry Pi Documentation"을 번연한 변역서였다니... www.raspberrypi.org/documentation/ 원문(영어) 해석에 애로를 느끼는 초보자라면.. [Raspberry Pi 3 B+] 초심자는 어떤 라즈베리 파이 키트로 시작하면 좋은가?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해 뭔가를 조작하거나 측정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있어 키트는 정말 요긴하다. 라즈베리 파이 이해를 위한 키트도 검색해 보면 정말 많은 국/내외 제품이 있다. 물론 국외(가격의 이유로 거의 중국이라 생각되는)의 제품을 수입해 판매하는, 그러나 초심자는 해당 제품이 국외에서 왔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는 곳도 굉장히 많이 있는 것 같다. 초심자 입장에서 라즈베리 파이 키트를 고를 때의 고민은 "내가 구매할 키트의 가격이 합리적이고 합당한지" 일 수도 있고, "키트에 얼마나 많은 전자부품/소자가 포함되어 있냐" 일 수도 있을 것이다. "초심자는 어떤 라즈베리 파이 키트로 시작하면 좋은가?"란 물음에 대한 내 의견은 아래와 같다. 상황, 사정에 따라 다르겠으나 첫구매로 라즈베리 파이로 ..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