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 (Consumer Price Index :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가 일상적으로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지수화하며 인플레이션 측정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된다.
PCE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 개인소비지출)
미국에서 사용되는 인플레이션 측정 지표로 소비자가 실제로 구매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에 대한 지수로, CPI보다 더 포괄적인 측정치를 제공한다고 해석한다.
PPI (Producer Price Index : 생산자물가지수)
생상자 또는 도매상의 물품 가격 변동에 대한 지수로 PPI가 상승하면 일반적으로 CPI에 대해 상향 압력이 가해지고 CPI의 상승을 앞당길 수도 있으며 금리를 올리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PMI (Purchasing Managers' Index : 구매관리자지수)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활동에 대한 지수로 PMI가 50을 초과하면 활동이 확장, 50 미만이면 위축 국면에 있다 해석한다.
고용률 및 실업률
경제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지표이다. 완전고용은 보통 실업률 5% 미만을 의미한다. 고용률이 좋아질수록 인플레이션도 심화될 가능성을 높아지기도 한다.
금리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는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다. 금리가 상승하면 대출비용이 증가하여 소비와 투자가 감소할 수 있다.
소비자신뢰지수
소비자들이 경제에 대해 얼마나 낙관적이거나 비관적인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주택가격지수
주택 시장의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로 부동산 시장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려준다. 고용률 중가, 소득 중가, 금리 인하 등의 요인이 있을 때 주택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주택판매지수
주택 판매의 증가는 경제가 호황임을 의미할 수 있다.
무역지표
무역수지, 경상ㅈ수지 등은 국가의 무역 상태를 반영한다.
GDP (Gross Domestic Product : 국내총생산)
한 나라의 경제 활동을 축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다.
경기선행지표
미래의 경제 활동을 예측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미국 컨퍼런스보드 경기선생지수(LEI)가 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관 투자자 구분 (0) | 2022.11.13 |
---|---|
로봇 (0) | 2022.09.13 |
뉴스픽 2022-06-28 : 로봇 SW 개발 로보아르테 강지영 대표 인터뷰 (0) | 2022.06.28 |
한국거래소 구성 종목 2022-06-24 : KOSPI 200 (0) | 2022.06.24 |
한국거래소 상장 정보 2022-04-05 :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0) | 202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