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배터리 : 2차전지, 차세대 배터리, 모빌리티 배터리

 

양극재

배터리의 용량과 출력을 결정하는 주요 소재

- LCO(리튬 코발트 산화물)

- NCM(니켈, 코발트, 망간)

- NCA(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 NCMA(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 LMO(리튬 망간 산화물)

- LFP(리튬, 인산, 철)

 

음극재

흑연계, 실리콘계가 있으며, 실리콘은 흑연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음

 

전해질

리튬 이온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로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 기능을 담당

 

분리막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고 리튬 이온을 통과하도록 하는 얇은 막

 

배터리 시장 규모

음극재    
- 실리콘 음극재 2025년: $29억 2030년: $146억

 

배터리 셀/팩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양극재 에코프로비엠 (21년 : 8만톤 -> 22년 : 9만톤 -> 25년 : 32만톤 -> 26년 : 55만톤)
엘앤에프 (21년 : 7만톤 -> 25년 : 20만톤)
코스모신소재
포스코퓨처엠 (21년 : 5.5만톤 -> 25년 : 27.5만톤)
LG화학 (21년 : 9만톤 -> 25년 : 20.5만톤 -> 26년 : 26만톤)
음극재 대주전자재료
포스코푸처엠
한솔케미칼
전해질 후성
천보
엔켐
솔브레인
동화기업
동박 일진머티리얼즈
SKC
솔루스첨단소재
분리막 SK아이이테크놀로지

 

리튬철인산염배터리 (LFP)

 

리튬이온배터리 (LIB)

- 니켈-코발트-망간(NCM, 삼원계)을 일정 비율로 배합

 

나트륨이온배터리

2021-04-19 : KIST, 나트륨이온전지용 대용량 음극 소재 개발 : 이황화몰리브덴 활용 이종복합소재 개발

2021-07-30 : CATL, 에너지 밀도 160wh/kg 1세대 나트륨이온배터리 공개

2021-12-06 : 에너지11, 하이브리드 고체 전해질 사용 나트륨이온배터리 개발

 

전고체배터리

 

리튬메탈배터리(LMB)

- 리튬이온배터리를 대체할 미국의 차세대 배터리는 리튬메탈배터리가 될 것이다.

 

마그네슘이온배터리

- 유럽의 대합-연구기관에서 개발 추진

 

리튬이온배터리 제조 공정

  • 전극 :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제조
  • 조립 : 전극과 원재료를 가공, 조립
  • 충/방전 : 전기적 특성 부여
  • 디개싱 : 전지에 축적된 가스 배출
  • 테스트 : 각종 성능 및 수명 테스트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이해를 위한 참고  (0) 2021.12.31
[뉴스픽] 2021-12-27 ~ 2022-01-02  (0) 2021.12.28
[뉴스픽] 2021-12-20 ~ 2021-12-26  (0) 2021.12.20
주식투자의 원칙들  (0) 2021.12.19
웹 3.0  (0) 2021.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