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계 : 구글 프레젠테이션 페이지 접속
우선 아래 경로 중 하나를 통해 구글 프레젠테이션 웹 페이지에 접속한다.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
또는 구글 앱 메뉴를 통해서도 프레젠테이션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구글 문서도구(Google Docs)는 "프레젠테이션" 외 "문서"나 "스프레드시트"도 지원하고 있다.
2 단계 : 새로운 프레젠테이션 생성하기
페이지 상단 "새 프레젠테이션 시작하기"에서 원하는 프레젠테이션 템플릿을 통해 새로운 프레젠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템플릿 보기가 비활성화 되어 있다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페이지 하단에 나타나는 "+" 부분을 클릭하여 새로운 프레젠테이션을 생성한다.
프레젠테이션 템플릿 보기 또는 숨기기는 구글 프레젠테이션 페이지의 설정 메뉴 내 "템플릿" 항목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여러 템플릿 중 "포트폴리오" 템플릿을 선택해 본다.
"포트폴리오" 템플릿은 기본적으로 10개의 레이아웃을 제공하고 있다.
3 단계 : 슬라이드 추가 및 삭제
"포트폴리오" 템플릿 선택 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10개의 슬라이드에 대하여 각각의 레이아웃은 "레이아웃" 툴바를 통해 변경이 가능하다. 물론 "슬라이드" 메뉴의 "레이아웃 적용" 항목을 통해서도 변경할 수 있다.
"+" 툴바 또는 마우스를 통한 팝업 메뉴를 통해 또는 "슬라이드" 메뉴를 통해 슬라이드 추가 및 레이아웃 변경 등이 가능하다.
4 단계 : 프레젠테이션 불러오기
구글 프레젠테이션은 작성한 내용을 자동으로 저장한다. 따라서 저장 기능은 보이지 않고 "열기"나 "휴지통으로 이동" 기능 등이 파일 메뉴 내에 확인된다.
저장 기능 대신 작성한 프레젠테이션을 파일로 저장(파일 메뉴의 다운로드 항목)하는 기능이 있음도 주목할 만 하다.
구글 프레젠테이션 웹 페이지의 "파일 선택기 열기" 항목에서 작성한 임의 프레젠테이션을 선택해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5 단계 : 파일 업로드
구글 프레젠테이션 페이지의 "파일 선택기 열기"에서 파일을 불러 올 수 있다.
아래는 4 단계에서 저장한 PDF 문서를 업로드한 결과이다.
6 단계 : 구글 드라이브에서 내 파일 관리
구글 드라이브 웹 페이지에 접속하면 내가 작업중인 문서나 파일 관리가 가능하다.
https://drive.google.com/drive/my-drive
내 드라이브에서 삭제한 문서나 파일은 우선 휴지통으로 이동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설명]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0) | 2021.11.24 |
---|---|
국민건강보험, 나와 내 자녀(아이)의 사업장 의료비 자료제공 동의 여부 확인 방법 (0) | 2021.11.24 |
국가 기술 자격증 및 민간 자격증, 코딩 지도사 자격증 종류 검색 (0) | 2021.08.18 |
MIT 컴퓨터 관련 학과에선 현재 파이썬을 강의하고 있을까? (0) | 2021.06.21 |
2021 모빌리티포럼 "자율주행 시대, 의지와 믿음 있으면 언제든 현실화" (0) | 202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