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파이썬과 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 3 B+] 라즈베리 파이 OS 초기 설정

라즈베리 파이를 최초로 시작(부팅 : booting)하면 운영체제 기본 설정을 진행하게 된다. 사용 목적에 따라 더 최적화된 설정이 있겠지만 본 글은 저자 환경에 맞는 방식으로 설정을 진행한다.

 

Set Country

아래와 같이 라즈베리 파이 OS의 기본 사용 국가는 United Kingdom이나,

 

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Country -> South Korea
  • Use English language -> 체크
  • Use US keyboard -> 체크

* 만약 "Use US keyboard"의 체크박스를 체크하지 않으면 (나중에 변경해도 되지만) '~'와 같이 몇몇 문자가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사용하는 키보드 상의 문자 대로 타이핑되지 않는다.

 

이전 글에서 이미 밝힌 바와 같이 집 wifi 연결이 안되어 유선 LAN으로 인터넷에 연결한다.

 

Change Password

라즈베리 파이 OS의 기본 사용자인 'pi'의 초기 로그인 암호는 'raspberry'이나, 나중에 원격접속을 생각해 적당한 암호로 변경해 준다.

 

 

이후 나오는 창들에선 별도의 설정없이 'Next'를 눌러 진행하고, Setup Complete 단계에서 'Restart' 버튼을 눌러 라즈베리 파이를 재시작한다.

 

라즈베리 파이 OS의 화면 구성

라즈베리 파이 비기너 가이드 v1이나 v4의 Chapter : Using your Raspberry Pi를 통해 라즈베리 파이 OS와 친숙해 질 수 있다. 정말?!!!

 

라즈베리 파이가 시작될 때, 라즈베리 파이가 뭔가 실행하는 결과 정보를 보고 싶다면, Raspberry Pi Configuration을 클릭한 후,

 

 

System 탭 내 Splash Screen을 Disable로 설정한다.

 

 

그리고 Raspberry Pi Configuration에서 모니터에 꽉찬 화면을 보고자 한다면, Display 탭의 Overscan을 Disable로 설정한다.

 

 

VNC와 같은 화면 원격 접속을 위해 Display 탭의 Resolution은 사용하는 모니터 크기에 맞게 설정한다.

내 경우 1920x1080으로 설정.

 

 

화면 구성을 좀 살펴본 후 인터넷으로 네이버 사이트를 방문하면 아래와 같이 ㅁㅁㅁ 문자가 보이는데,

 

 

인터넷에서 한글 문자 표시를 위해 터미널 창에서 sudo apt install fonts-unfonts-core 명령을 실행한다.

리눅스 초심자로써 apt와 apt-get의 차이가 명확하진 않지만 apt가 더 최신의 사용 방법이라고 하니 그런가 보다 한다. 한글 입력기 설치는 나중에 필요할 때 진행해 본다.

 

 

이전 글에서 잠깐 얘기했던 SD 카드의 여유 공간을 확인해 보니 라즈베리 파이 OS 최초 시작 시 진행된 업데이트 및 fonts-unfonts-core 패키지 설치하니 약 6.8GB가 남아 있다. (-m은 MB(mega byte) 기준으로 남은 공간 정보 표시 옵션)

 

 

df --help와 같이 라즈베리 파이 OS 상의 대부분의 명령어는 --help 옵션으로 상세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이전 라즈베리 파이 OS (라즈비안)에선 표시되지 않았던 정보였던 것 같은데, 현재 기준 라즈베리 파이 OS에선 아래 그림과 같이 "Low voltage warning" 문구가 표시되고 있다. 아무래도 전원을 현재 2.xA 출력에서 3.0A 이상 출력으로 바꿔야 할 것 같다. (VNC 아이콘은 추후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