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텍스트 파일 쓰기
아래와 같이 파이썬으로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은 상당히 간단하다.
파이썬 내장 함수 open()으로 파일 객체를 생성한 후 write() 등의 메서드로 원하는 문자열을 파일에 쓰고, 마지막에 close() 메서드로 생성한 파일을 닫으면 하나의 파일이 생성된다.
write_f = open(file='sample.txt', mode='tw')
write_f.write('Hello World')
write_f.writelines(['one', 'two', 'three'])
write_f.close()

위의 이미지와 같이 생성된 텍스트 파일 sample.txt에는 각 문자열 마다 줄바꿈이 적용되어 있지 않다.
텍스트 파일에 쓸 문자열 마지막에 "\n"을 붙여주면 텍스트 파일 한 줄에 하나의 문자열이 표시된다.
write_f = open(file='sample.txt', mode='tw')
write_f.write('Hello World\n')
write_f.writelines(['one\n', 'two\n', 'three\n'])
write_f.close()

내장 함수 open()의 파라미터 정의는 다음과 같다.
open() 함수의 첫번째 파라미터 file은 읽거나 쓸 파일의 경로와 이름을, 두번째 파라미터 mode는 파일을 읽을 것인지 아니면 쓸 것인지에 대한 모드를 의미한다.
open(file, mode='r', buffering=None, encoding=None, errors=None, newline=None, closefd=True)
내장 함수 open()의 파라미터 mode 관련 추가 정보는 아래와 같다.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는 좀 더 안전한 방법은 키워드 with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생성한 파일 객체에 대한 close() 메서드 호출은 생략된다.
with open(file='sample.txt', mode='tw') as write_f:
write_f.write('Hello World\n')
write_f.writelines(['one\n', 'two\n', 'three\n'])'코딩 > 파이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파이썬 튜토리얼 038. JSON 파일 쓰기 (0) | 2021.08.12 |
|---|---|
| 파이썬 튜토리얼 037. 텍스트 파일 읽기 (0) | 2021.08.04 |
| 파이썬 튜토리얼 035. Formatted String Literals와 str.format() 메서드 (0) | 2021.08.02 |
| 파이썬 튜토리얼 034. 파이썬 모듈 import (0) | 2021.08.01 |
| 파이썬 튜토리얼 033. 시퀀스 타입 데이터의 비교 (0) | 2021.07.28 |